논리 개체 상세화와 데이터 λͺ¨λΈλ§

μΆœμ œλΉˆλ„: ν•˜
λΉˆμΆœνƒœκ·Έ: μ‹λ³„μž, 데이터 λͺ¨λΈ, 관계

1. 논리 개체 μ •μ˜

논리 κ°œμ²΄λŠ” ν˜„μ‹€ μ„Έκ³„μ˜ 식별 κ°€λŠ₯ν•œ λŒ€μƒμ„ λ””μ§€ν„Έν™”ν•œ κ²ƒμž…λ‹ˆλ‹€. ν•˜λ‚˜μ˜ νƒ€μž…μœΌλ‘œ μ—¬λŸ¬ 개체λ₯Ό 생성할 수 있으며, 각 κ°μ²΄λŠ” 독립적이고 λ ˆμ½”λ“œλ“€κ³Ό λŒ€μ‘λ©λ‹ˆλ‹€.

2. 개체 νƒ€μž…(개체 μŠ€ν‚€λ§ˆ)

  • 개체λͺ…κ³Ό 개체 속성을 μ •μ˜ν•΄μ„œ λͺ…μ„Έν•œ κ²ƒμœΌλ‘œ, λ‹€λ₯Έ 개체 νƒ€μž…κ³Ό 관계λ₯Ό ν˜•μ„±ν•©λ‹ˆλ‹€.
  • 개체 μΈμŠ€ν„΄μŠ€: νŠΉμ • 개체 νƒ€μž…μ— μ˜ν•΄ μƒμ„±λœ κ°œμ²΄μž…λ‹ˆλ‹€.
  • ν΄λž˜μŠ€μ™€ μœ μ‚¬ν•˜μ§€λ§Œ, λ©”μ„œλ“œλ₯Ό μ •μ˜ν•˜μ§€ μ•Šκ³  데이터 λͺ¨λΈλ§μ—μ„œ λ°μ΄ν„°μ˜ ꡬ쑰λ₯Ό μ •μ˜ν•˜λŠ” 데 μ‚¬μš©λœλ‹€λŠ” 점이 λ‹€λ¦…λ‹ˆλ‹€.

3. 속성

3.1 μ†μ„±μ˜ μ •μ˜

고유의 νŠΉμ„±μ΄λ©° 개체의 성격을 λ‚˜νƒ€λƒ…λ‹ˆλ‹€. κ°€μž₯ μž‘μ€ λ‹¨μœ„(μ›μžκ°’)λ₯Ό κ°€μ§‘λ‹ˆλ‹€.

3.2 μ†μ„±μ˜ μ’…λ₯˜

  • κΈ°λ³Έ 속성: 업무 뢄석을 톡해 μ •μ˜λ¨
  • 섀계 속성: μƒˆλ‘œ λ§Œλ“€κ±°λ‚˜ λ³€ν˜•
  • νŒŒμƒ 속성: λ‹€λ₯Έ 속성에 μ˜ν•΄μ„œ 데이터가 μ •μ˜λ  λ•Œ

μ˜ˆμ‹œ:

  • 점수: 기본속성
  • λ“±κΈ‰: νŒŒμƒμ†μ„±
  • 번호: 섀계속성

3.3 μ†μ„±μ˜ λΆ„λ₯˜

  • κΈ°λ³Έν‚€ 속성: 개체λ₯Ό 식별
  • μ™Έλž˜ν‚€ 속성: λ‹€λ₯Έ κ°œμ²΄μ™€ 관계λ₯Ό 가짐
  • 일반 속성

3.4 속성 μ •μ˜ μ‹œ 고렀사항

  • μ›μ‹œμ†μ„±μ„ μ œκ±°ν•˜λ©΄ μž¬ν˜„μ΄ λΆˆκ°€λŠ₯함
  • μ μ ˆν•œ κΈ°μ€€μœΌλ‘œ λΆ„λ₯˜ν•˜κ³  그룹을 κ°œμ²΄νƒ€μž…μœΌλ‘œ μ§€μ •

4. 관계 μŠ€ν‚€λ§ˆ(Relation Schema)

μ†μ„±λ“€μ˜ 논리적 ꡬ쑰(ν‘œ)λ₯Ό μ˜λ―Έν•˜λ©°, λ‹€μŒκ³Ό 같은 μŠ€ν‚€λ§ˆ λ³€ν™˜μ˜ 원칙을 μ€€μˆ˜ν•©λ‹ˆλ‹€:

  • 뢄리(독립적인 관계성을 κ°€μ§€κ²Œ)
  • 데이터 μ€‘λ³΅μ˜ κ°μ†Œ
  • 정보 무손싀 원칙

5. μ‹λ³„μž

5.1 μ‹λ³„μžμ˜ μ •μ˜

μœ μΌν•˜κ²Œ ꡬ뢄할 수 μžˆλŠ” κ²°μ •μžμž…λ‹ˆλ‹€. μ‹λ³„μžλŠ” λ³€ν•˜μ§€ μ•Šμ•„μ•Ό ν•˜λ©°, μ£Ό μ‹λ³„μžλŠ” NULL을 ν—ˆμš©ν•˜μ§€ μ•ŠμŠ΅λ‹ˆλ‹€.

5.2 μ‹λ³„μžμ˜ μ’…λ₯˜

μ£Ό μ‹λ³„μž vs 보쑰 μ‹λ³„μž

  • μ£Ό μ‹λ³„μž: κΈ°λ³Έν‚€
  • 보쑰 μ‹λ³„μž: μ£Ό μ‹λ³„μž λŒ€μ‹ ν•˜μ—¬ 식별함 (고유 μΈλ±μŠ€μ™€ 같은 의미, 쀑볡값 λΆˆν—ˆ)

λ‚΄λΆ€μ‹λ³„μž vs μ™ΈλΆ€μ‹λ³„μž

  • λ‚΄λΆ€μ‹λ³„μž: μžμ‹ μ˜ 개체 νƒ€μž…μœΌλ‘œ μƒμ„±λ˜λŠ” μ‹λ³„μž
  • μ™ΈλΆ€μ‹λ³„μž: λ‹€λ₯Έ 개체 νƒ€μž…μ—μ„œ μ£Ό μ‹λ³„μžλ₯Ό 상속 (μ™Έλž˜ν‚€μ™€ 같은 의미)

단일 μ‹λ³„μž vs λ³΅ν•©μ‹λ³„μž

  • 단일 μ‹λ³„μž: 속성이 ν•˜λ‚˜
  • 볡합 μ‹λ³„μž: λ‘˜ μ΄μƒμ˜ 속성이 ν•„μš” (μŠˆνΌν‚€μ— ν•΄λ‹Ή)

원쑰 μ‹λ³„μž vs λŒ€λ¦¬μ‹λ³„μž

  • 원쑰 μ‹λ³„μž: κ°€κ³΅λ˜μ§€ μ•ŠμŒ
  • λŒ€λ¦¬ μ‹λ³„μž: 볡합 μ‹λ³„μžμ˜ 속성을 ν•œ μ†μ„±μœΌλ‘œ λ¬Άμ–΄μ„œ ν•˜λ‚˜μ˜ μ‹λ³„μžλ‘œ ν™œμš© (μΈμ‘°μ‹λ³„μž)
    • 예: μ½”λ“œ, 일련번호 λ“± 데이터λ₯Ό μƒˆλ‘œ 생성

6. 데이터 λͺ¨λΈλ§

6.1 데이터 λͺ¨λΈλ§μ˜ μ •μ˜

  • κΈ°μ—…μ˜ 정보 ꡬ쑰λ₯Ό λͺ¨λΈλ‘œ λ¬Έμ„œν™”
  • ν˜„μ‹€μ˜ 정보 ꡬ쑰λ₯Ό 싀체와 관계λ₯Ό 톡해 정보ꡬ쑰 ν‘œν˜„

6.2 데이터 λͺ¨λΈμ˜ ꡬ성

  • ν‘œμ‹œ μš”μ†Œ: 논리적 ꡬ쑰, μ—°μ‚°, μ œμ•½μ‘°κ±΄
  • ꡬ성 μš”μ†Œ: 개체, 속성, 관계
  • 개발 절차: 수립, 뢄석, 섀계, 개발

6.3 데이터 λͺ¨λΈλ§μ˜ νŠΉμ§•

  • μ •ν™•ν•œ 이해 제곡
  • μ˜μ‚¬μ†Œν†΅ μˆ˜λ‹¨μœΌλ‘œ ν™œμš©
  • λΉ„μš© κ°μ†Œ
  • 개발의 기초 제곡
  • 업무 흐름 νŒŒμ•… 용이
  • 무결성 보μž₯

7. κ°œλ… 데이터 λͺ¨λΈλ§

  • μƒμœ„ μˆ˜μ€€μ˜ λͺ¨λΈλ‘œ 데이터 λͺ¨λΈμ˜ 골격을 섀계
  • μ£Όμš” 업무 μ˜μ—­μ— ν¬ν•¨λ˜λŠ” 개체 νƒ€μž…κ°„μ˜ 관계 νŒŒμ•…
  • νŠΉμ§•: 독립적인 ν‘œν˜„μ΄ κ°€λŠ₯ (E-Rλͺ¨λΈλ‘œ ν‘œν˜„ μ‹œ νŠΉμ • DBMS μ œμ•½ μ—†μŒ)

8. 논리 데이터 λͺ¨λΈλ§

  • 업무 데이터 κ·œμΉ™μ„ ꡬ체적으둜 ν‘œν˜„
  • κ°œλ…μ  ꡬ쑰λ₯Ό 논리적 ꡬ쑰둜 λ³€ν™˜(λ§€ν•‘)
  • νŠΉμ§•:
    • μš”κ΅¬μ‚¬ν•­ 변경에 λΉ„μš©μ΄ 많이 λ°œμƒ
    • μ‹œμŠ€ν…œ μ œμ•½μ‚¬ν•­μ— 독립적
    • E-Rλͺ¨λΈ ν™œμš©
    • μ •κ·œν™” ν•„μš”

9. 논리 개체의 관계

9.1 κ΄€κ³„μ˜ κΈ°λ³Έ κ°œλ…

  • 관계: 의미 있게 μ—°κ²°λœ μƒνƒœ
  • 쑴재 관계: 정적인 μƒνƒœ (예: 학ꡐ-학생)
  • ν–‰μœ„ 관계: 동적 관계 (예: 고객-주문개체)
  • κ°œμ²΄κ°„ μ°Έμ‘° 무결성 보μž₯ (λͺ¨λ“  λŒ€μ‘μ΄ 1둜 μ‹œμž‘)

9.2 κ΄€κ³„μ˜ μ’…λ₯˜

속성관계

  • 객체λ₯Ό κΈ°μˆ ν•˜κΈ° μœ„ν•œ 관계
  • μ μ„ μœΌλ‘œ ν‘œν˜„
  • μ›ν˜•μœΌλ‘œ ν‘œμ‹œ

κ°œμ²΄κ΄€κ³„

  • μ‹€μ„ μœΌλ‘œ ν‘œν˜„
  • μ‚¬κ°ν˜•μœΌλ‘œ ν‘œμ‹œ

쒅속관계

  • κ°œμ²΄μ™€ 개체 μ‚¬μ΄μ˜ μ£Όμ’… 관계
  • 식별 관계: μ™Έλž˜ν‚€κ°€ 기본킀에 포함
  • 비식별 관계: μ™Έλž˜ν‚€κ°€ 기본킀에 미포함

기타 관계

  • 쀑볡 관계: 두 번 μ΄μƒμ˜ 쒅속 관계가 λ°œμƒ
  • μž¬κ·€ 관계: 자기 μžμ‹ μ„ λ‹€μ‹œ μ°Έμ‘°
  • μƒν˜Έ 배타적 관계: μ„œλ‘œ λ°€μ–΄λ‚΄λŠ” 관계
    • XOR관계(배타적 OR 관계)
    • ν•˜μœ„ ꡬ성 κ°œμ²΄λ“€ 쀑 ν•˜λ‚˜μ˜ κ°œμ²΄μ™€λ§Œ 톡합